관심사/사주명리

02. 십간과 십이지

행운보화 2025. 10. 3. 10:04

사주명리

 

십간과 십이지 – 사주의 뼈대를 이루는 원리와 해석법

십간과 십이지는 사주의 기초를 구성하는 요소로, 흔히 ‘천간’과 ‘지지’라고도 불립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를 단순한 간지 체계로 이해하지만, 실제로는 우주 만물의 순환 원리와 사람의 인생 주기를 함축한 복합적인 철학 체계입니다.

이 글에서는 십간과 십이지 각각의 의미를 나열하는 것을 넘어서, 어떻게 해석하고 실전에 활용할 수 있는지, 각각이 갖는 철학적 배경까지 자세히 설명합니다.

십간(十干)이란? – 하늘의 기운, ‘천간’

순서 한자 오행 음양 의미 요약
1 시작, 돌파력
2 유연함, 성장
3 태양, 외향성
4 촛불, 감성
5 산, 중심성
6 밭, 수용성
7 도구, 절단력
8 장신구, 세밀함
9 큰 물, 외향성
10 이슬, 감성

십이지(十二支)란? – 땅의 기운, ‘지지’

순서 한자 동물 오행 음양 시각 계절 특징 요약
1 23~1시 겨울 시작 계산적, 민첩함
2 1~3시 겨울 중 느림, 인내
3 호랑이 3~5시 봄 시작 대담함, 추진력
4 토끼 5~7시 봄 중 섬세, 우아함
5 7~9시 봄 끝 융합, 변화
6 9~11시 여름 시작 지혜, 계획적
7 11~13시 여름 중 활동적, 강렬함
8 13~15시 여름 끝 온화, 배려
9 원숭이 15~17시 가을 시작 기민함, 전략적
10 17~19시 가을 중 정확성, 비판력
11 19~21시 가을 끝 충직, 수비력
12 돼지 21~23시 겨울 완성 관대함, 유순함

십간과 십이지 조합 – 60갑자의 구성 원리

십간(10개)과 십이지(12개)의 조합으로 만들어지는 60갑자는 사주의 네 기둥을 구성하는 핵심이 됩니다. 예: 갑자(甲子), 을축(乙丑), 병인(丙寅)... 계해(癸亥)까지 총 60개의 조합이 있습니다.

실전 응용: 십간과 십이지를 통한 해석

  • 성격 분석: 일주의 천간과 지지를 통해 기본 성향과 내면 성향을 파악
  • 궁합 분석: 서로의 간지 상생/상극 여부로 궁합 판단
  • 오행 균형: 전체 사주에서 부족하거나 강한 오행 파악

결론

십간과 십이지는 사주의 뿌리이자 해석의 시작점입니다. 단순히 외우는 것이 아니라, 그 안에 담긴 오행과 음양의 철학을 이해하고 실생활에 적용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 글이 당신의 명리학 입문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